I. 카멜레온 부트로더 설치
1 1. Chameleon 2.0 RC4 설치
후처리 작업 후 다시 Boot 132 부트로더 USB 디스크로 시동하고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OSX로 부팅한다. 이후 카멜레온 부트로더(*.pkg) 파일로 자체 부트로더 설치를 진행한다.
2 2. 카멜레온 부트로더 확인
Boot 132 부트로더 USB 디스크와 OSX 이미지 USB 디스크를 제거하고, OSX가 깔린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여 부팅하여 본다.
정상적으로 카멜레온 부트로더가 실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CMOS에서 이 하드디스크를 부팅 하드로 지정하면 컴퓨터 부팅시 자동으로 이 화면을 만나볼 수 있다.)
만약 OSX 내부에서 카멜레온 부트로더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OSX가 깔린 하드디스크 단일로는 부팅이 불가능하다.
II. 드라이버 설치
3 1. MultiBeast만 사용(실패)
MultiBeast는 대표적인 드라이버 모음 패키지이다. MultiBeast만 사용하여 드라이버 설치는 불가능하니 현재 과정은 건너뛰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드라이버 목록을 확인 결과 오디오 드라이버를 제외하곤 현재 시스템에 맞는 드라이가 없을 확인할 수 있다. 핵심적인 드라이버로는 사운드, 그래픽, 랜 드라이버가 있으며 이 세가지 드라이버가 제대로 맞아야 성공이라 말한다.
맞지 않는 드라이버를 무리하게 설치하였고 위와 같이 시스템이 완전히 망가졌다. 이 문제는 TransMac을 이용하여 Kext 파일을 초기화 시켜주어야 한다. 하지만 초기화 이후에도 작동이 안 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때는 OSX를 다시 깔아야 한다.
현재 시스템의 사양은 아래와 같다.
-
CPU 유형 QuadCore Intel Ivy Bridge Core i5-3550, 3500 MHz (35 x 100)
-
메인보드 이름 ASRock Z77 Extreme4
-
비디오 어댑터 Intel(R) HD Graphics HD 2500
-
오디오 어댑터 Realtek ALC899 @ Intel Panther Point PCH - High Definition Audio Controller
-
네트워크 어댑터 Broadcom NetLink (TM) Gigabit Ethernet
확인 결과 사운드 드라이버는 MultiBeast 것을 그대로 써도 되지만 나머지는 Kext 드라이버를 직접 찾아 수동으로 집어넣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4 2. MultiBeast + Kext 개별 드라이버 조합(성공)
2-1. 그래픽 드라이버, 네트워크 드라이버, DSDT 다운로드
'ASRock Z77 Extreme4 dsdt' 검색을 통해 해당 메인보드 DSDT와 랜 드라이버(BCM57781)를 찾을 수 있다. (http://goo.gl/ACRlG)
Asrock Z77 Extreme4 DSDT BIOS p2.00
dsdt.aml
IONetworkingFamily.kext
DSDT란?
이 내용만 가지고도 글을 하나 쓸 수 있을 만큼 개념이 복잡한 편이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각각의 메인보드에 맞는 최적의 세팅값을 선구자들이 찾아내고 이를 표준화 시킨 파일이다. 드라이버 설치나 부팅 성공에 있어 영향을 끼친다.
ASMedia USB 3.0 드라이버 역시 osx86.net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ASMedia USB 3.0 Driver Installer.pkg
또한 'Intel(R) HD Graphics HD 2500 해킨토시'라는 검색어를 통해 인텔 내장 그래픽 HD 2500 드라이버를 찾을 수 있다. (http://goo.gl/rVBe6)
AppleIntelHDGraphics.kext
2-2. DSDT, 그래픽, 랜 Kext 드라이버 배치
TransMac을 이용하여 DSDT는 OSX 설치 드라이브의 루트, 나머지 드라이버들은 /\Extra\Extensions 폴더에 해당 드라이버 Kext 파일을 삽입한다.
2-3. 사운드 드라이버(MultiBeast 이용) 설치
사운드 드라이버는 MultiBeast에서 Realtek 8xx 버전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MultiBeast를 이용한다.
해당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Extra\Extensions 폴더에 ALC8xxHDA.kext 파일이 배치된다.
5 3. Kext 드라이버 자동 권한 설정 및 설치(실패)
Kext 드라이버들이 실질적으로 적용되려면 권한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정석적인 방법으로는 OSX 내부 터미널 프로그램에서 명령어를 주면서 해야하지만, 해당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관련 툴들이 제공되고 있다.
3-1. Kext Utility 사용
Kext Utility는 /\Extra\Extension 폴더에 추가 된 Kext 드라이버 파일을 읽어 들이고 해당 파일들에게 권한을 부여해준다. 최종적으로는 /\Extra 폴더에 Extensions.mkext라는 패킹(모음이 된) 파일을 만드는데, 시스템에선 부팅시 해당 mkext 파일을 최우선적으로 불러들여 드라이버를 로드한다.
3-2. Kext Wizard
Kext Wizard는 Kext Utility 보다 권한 설정 부분에서 좀 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원하는 Kext 파일을 Kext Wizard에서 불러오고 해당 파일을 /\System\Library\Extensions\에 직접 설치할 것인지 아니면 /\Extra\Extensions 폴더에 넣고 Extensions.mkext 파일을 생성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이 두 가지 형태중 하나로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다.
-
/\System\Library\Extensions\ 경로에 Kext 파일 설치 후 권한 수정 및 Cache 재설정
-
/\Extra\Extensions 경로에 Kext 파일 배치 후 권한 수정 및 Extensions.mkext 생성
때문에 Kext Wizard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Kext 파일을 사전에 옮겨놓을 필요는 없다.
드라이버 설치 후에 적용 과정을 확인하려면 필히 시스템 재시작을 하여야
이 방법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설치 진행상에 에러는 없었지만 드라이버 설치 후 Kext 파일이 설치 목록에 뜨질 않는다자주 쓰이진 않지만 Kext Helper b7이나 Kext Drop이라는 프로그램도 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들 역시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설치에 실패했다.
6 4. Kext 드라이버 수동 권한 설정 및 설치
수동 권한 설정 및 설치는 두 가지가 있다.
-
Kext Utility를 이용하여 파일 하나하나를 드래그&드랍 방식으로 떨궈서 설치시키는 방법
-
터미널을 열고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여 권한 설정 및 캐쉬를 삭제하는 방법
4-1. Kext Utility 수동 설치
위의 스샷과 같이 kext 파일을 드래그하여 바탕화면의 Kext Utility 실행 파일에 드랍한다. 화면의 진행사항처럼 해당 드라이버가 단독으로 인스톨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 할 모든 kext 파일을 하나씩 드래그&드랍 해준다.
4-2. 터미널 수동 설치
Kext Wizard의 상단 메뉴탭의 설치된Kext 메뉴를 통해 설치된 Kext 드라이버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치한 파일들이 적용되지 않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실패)
설치 할 Kext 드라이버 파일을 .\Systems\Library\Extensions\ 폴더에 복사 후 OSX 자체 터미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아래와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 터미널 작업의 경로를 아래와 같이 변경
cd /System/Library/Extension/
- 복사해 넣은 Kext 파일의 권한을 변경
sudo chmod -R 755 filename.kext
sudo chown -R root:wheel filename.kext
- Kext 캐쉬 파일 삭제
sudo rm -R Extensions.kextcache
sudo rm -R Extensions.mkext
하지만 이번 과정 역시 스샷처럼 Extensions.mkext 파일이 생성되지 않아 실패로 돌아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3. Extensions.mkext 직접 이동
엄밀히 말해 수동 작업이라 할 수 없지만 편법적인 방법이기에 이곳에 분류한다. 검증되지 않은 작업이지만 터미널을 통한 명령어 입력시 Extensions.mkext 파일이 /\Systems\Library\Extensions\ 폴더에 생성된다고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3-1 항목에서 생성해 준 Extensions.mkext 파일을 /\Systems\Library\Extensions\ 경로에 옮겨준다.
Extensions.mkext 파일을 해당 경로에 옮기고 재부팅 하여본다.
이 방법 역시 드라이버 적용에 실패하였다.
현 상황에서는 드라이버 설치를 사실상 실패하였다. 2012. 9. 2. 08:30
'Manual > 해킨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 해킨토시 개론 (1) | 2012.10.06 |
|---|---|
| 2. Boot 132 부트로더 USB 제작 (1) | 2012.10.06 |
| 3. VMware 설치 및 OSX 설치 (0) | 2012.10.06 |
| 4. OSX 이미지 USB 디스크 제작 (1) | 2012.10.06 |
| 5. 실제 머신에 OSX 설치 및 후작업 (0) | 2012.10.06 |
| 7. 문제 해결 및 목표 달성 (0) | 201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