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게시판에 여쭤보는 분들이 많아보여서 글써봅니다.
나중에 좌표쏴 줄 정도가 되기를 바랍니다.
I. 프롤로그
컴퓨터 조언이라는 게 워낙 사람마다 중구난방이고
전문성이 없이 자신이 선호하는 제품을 때려박기 마련입니다.
일단 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 약력을 소개하자면..
1. 현존 왠만한 네임드 부품 거의 경험(실 조립 횟수 50대 이상)
2. Windows 7 Void Edition 제작(http://voidshell.tistory.com)
3. 컴퓨터 커뮤니티 쿨엔조이(http://coolenjoy.net) 활동 다수(FT-02 튜닝 관련)
4. 프로그래밍을 제외한 대부분의 컴퓨터 작업 가능.
5, 큰 이변이 없는 한 프리에선 컴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음.
6. 상당수의 대조군을 경험하고 구매(예전 5850의 경우 대부분의 종류를 써봤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글은 좀 '척'하면서 쓸 것 같은데 별 오해 없으셨으면..
쓸대 없는 반박 받기 싫고 대꾸해줄 여력도 없으니
'나 이런 사람이야'라는 의도입니다.
시덥잖은 태클은 사절입니다.
컴퓨팅에 있어 빛과 소금이요 진리와도 같은 글이니
반박하고 싶으면 이보다 더 뛰어난 글을 작성해보세요.
II. 부품
* 부품 선택에 대한 기준
1. 내구성
2. 소음도
3. 디자인
4. 성능
5. 가성비
아래 견적들은 제 기준에서 해당 가격대에 괜찮은 부품으로 선별했습니다.
좋은 부품들은 많지만 위의 기준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제품으로 선별했구요.
뭐 이것보다 더 좋은 부품이 있다는 식의 태클은 사양합니다.
가격 생각 안 하면 좋은 부품이야 얼마든지 있지요.
또 일반이 읽는 글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용어는 최대한 배제하겠습니다.
사실 컴퓨터에서 특별히 사무형 컴퓨터를 생각하는 게 아니면
중저가형을 사는 건 개인적으로 말리고 싶습니다.
때문에 아래 견적 역시 인텔에서 상급, AMD에서 상급으로 구성해봤습니다.
우리의 프리스타일은 당연히 최고 프레임으로 가능하고
앞으로 나올 다른 고사양 게임들 역시 상옵으로 가능합니다.
주변기기는 저 같은 경우 아주 비싼 제품을 사용합니다.
다만 대부분 일반의 경우 주변기기를 싸게싸게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아래 주변기기 역시 가장 저렴한.. 하지만 그 중에서도 괜찮은 제품으로 선택해봤습니다.
* 부품 소개
부품 선택에 대한 견해이니 넘어가도 무방합니다.
메인스트림 견적의 부품만 소개합니다.
1. CPU
CPU의 경우 가격은 당연히 인텔>AMD이구요
가격 차이가 많이 나지만 반드시 성능이 해당 가격만큼 차이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물론 점수놀이를 할 경우 어느정도 차이가 있깄하지만
실사용에서 체감적으로 성능을 느낄만한 수준은 아닙니다. (게임의 경우)
따라서 단순히 게임용을 생각한다면 CPU의 경우 AMD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해당 AMD CPU는 인텔의 신제품이 나오기 전 만 해도
20만원대에 포진하던 제품이었습니다.
AMD의 또 다른 장점이라면 가격에 큰 부담이 없기 때문에
해당 부품을 중고로 팔고 업그레이드 할 때도 부담이 없는 편입니다.
인텔은 샌디브릿지 2500K(오버클럭용이긴 한데.. 나중에 가치가 유지되는 장점)
AMD는 데네브 955를 선택했습니다.
2. 그래픽카드
그래픽카드의 경우 NVIDIA>ATI 입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친성향 게임 수, 호환성, 쿠다의 활용 범위,
국내 온라인 게임의 NVIDIA 성향 편중, 드라이버 안정성 정도입니다.
이런 비교는 당연히 현재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의 형세가 어떻다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지포스 GTX 460을 기점으로 트랜드는 NVIDIA 쪽으로 넘어왔고
위와 같은 기준을 들어 비슷한 성능이라면 NVIDIA 쪽을 선호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동급의 성능이라면 NVIDIA 쪽이 ATI보다 가격이 비싸지만 그 만큼 성능차이가 나는 건 아닙니다.
ATI 카드 역시 몇 달 전만 해도 NVIDIA 카드와 동급의 가격을 형성했기 때문이죠.
블리자드 게임의 경우 전통적으로 친 ATI 성향을 보입니다만
그래도 역시 친 NVIDIA 성향의 게임이 압도적으로 많은 게 사실입니다.
친 성향의 게임들은 호환성, 그리고 실 게임 성능에서 보다 우수한 능력을 보여줍니다.
쿨엔조이 최동찬님이 만든 그래픽카드 비교표입니다.
위에서 말한 기준 이외에 그래픽카드의 절대적인 성능 지표는 대략 위와 같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픽카드의 경우 가격 떨어지는 폭이 가장 심한 부품입니다.
때문에 몇 달 전에 50만원 하던 것이 20만원으로 떨어져있고..
이런 게 정말 체감적으로 가장 와 닿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너무 좋은 걸 사기 보단 적당히 좋은 걸 사서
나중에 적절한 시기에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픽카드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MSI, 기가, 컬러풀 정도가 있으며
MSI는 트윈프로저 시리즈로 몇 년전부터 유명했고 전통이 있는 편입니다.
기가 쌍팬은 이번에 처음 출시한 쿨러인데 이것도 반응은 좋습니다.
컬러풀 샤크는 오버클럭 기능이 특징이지만 호환성이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평입니다.
가격이 싸다는 것도 장점이나 중국 제품이라는 것이 걸리는 것도 사실입니다.
(컴퓨터 부품은 대부분 대만, 중국 제품이며 보통 대만 제품들이 상급 브랜드입니다.)
NVIDIA의 경우 현존 가장 조용한 글카인 MSI의 트윈프로저 560TI를 선택했고
ATI는 싼맛에 사는 거라 달리 선택의 여지 없이 사파이어 6870제품을 선택했습니다.
3. 램
램의 경우 과거 램타가 낮은 외산램도 많이 쓰였지만
ㄷㄱ님의 벤치를 통해 램타가 실성능에 큰 영향이 없다는 게 밝혀지면서
거의 삼성 몰빵으로 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여기에 그럴 분들은 없겠지만 밋밋한 기판이 거슬리면
아틱의 빗자루 방열판 씌어주면 예쁩니다.
과거 DDR3 2GB 램이 6만원씩 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2GB램이 3만원 아래이니 무조건 2GBx2로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윈도우 XP나 윈도우 7 32비트 윈도우의 경우 3.25GB까지 밖에 램 인식이 안 됩니다.
4GB램을 사용하려면 윈도우 7 64비트나 그 밖의 64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4. 메인보드
메인보드의 경우 대표 3강인 아수스, 기가, MSI가 있고
그 아래로 애즈락, 바이오스타, 젯웨이, ECS 등이 있습니다.
다만 애즈락의 경우 지난 1년동안 비약적인 성장이 있었고
실 매출량으로도 MSI를 따라잡았기 때문에
현재는 3강을 아수스, 기가, 애즈락으로 봐도 무리가 없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애즈락 익스트림6나 페이탈 같은 제품은 아수스를 넘어섰다고 생각)
아수스는 무난한 편이고.. 기가는 최근 하양세입니다.
애즈락은 모델별로 편차가 심한편이라 해당 모델을 먼저 알아봐야합니다.
인텔쪽은 다 우수하고, AMD의 경우 890GX나 880G는 괜찮고x70대는 불량이 많더군요.
바이오스타의 경우 AMD 쪽에서는 가격대 성능비가 꽤 괜찮은 편입니다.
인텔은 애즈락의 익스트림4 제품(이 가격대에선 가장 좋은 제품입니다)
AMD는 아수스의 870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5. HDD, ODD
HDD는 하드디스크, ODD는 광학디스크(DVD)를 말합니다.
하드디스크는 웬디, 시게이트, 삼성 이렇게 세 업체가 빅3이고
현재는 웬디의 단독 선두 질주라고 봐도 됩니다.
시게나 삼성은 성능은 좋지만 안정성 면에서 여러 불량 사례가 터져서
안정성이 최우선인 HDD에선 웬디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웬디는 블랙, 블루, 그린 세 가지 라인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블루 라인이 가장 범용적으로 쓰기 무난합니다.
블랙은 성능은 좋지만 소음이 다소 있기 때문에
버스트 레이트 속도를 중요시하는 고급 사용자가 아니면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2TB 블랙 제품부터는 전송속도나 엑세스 속도도 많이 차이가 나기 시작합니다.
ODD는 LG, 삼성, 파이오니아가 빅3이고 아마 대부분
LG 아니면 삼성을 사용할겁니다.
어차피 ODD의 성능이 큰 차이가 없고 활용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베젤이 디자인이 예뻐 케이스랑 잘 녹아드는 제품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디자인 면에서는 파이오니아가 압도적입니다.
성능면에서는 현재로선 삼성의 제품이 가장 좋습니다.
LG는 르네사스 칩셋 도입 이후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6. 파워
파워의 경우 대부분 일반이 가장 가격을 아끼려고 하는 부품 중 하나인데
제가 생각할 때,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의견으로 가장 미련한 행위이기도 합니다.
컴퓨터를 조용하고, 그리고 안정적으로 오래 쓰고 싶다면 파워가 좋아야 합니다.
실제로 그래서 컴퓨터 커뮤니티에서는 대부분 20~30만원 하는 고가의 파워를 선호합니다.
하지만 굳이 그렇게 고가의 파워를 찾지 않아도 중가형에 주력하는 브랜드의
중가형 파워도 좋은 제품들이 많습니다.
파워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이거나 효율이 좋으면 소음이 크고
그 반대의 경우 안정성이나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제품들은 주로 위에서 말한 고가형에 포진되어있구요.
그래도 희망이 있다면 중가형에선 마이크로닉스 제품이 이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유일한 제품입니다.
중가형에서는 FSP, 히로이찌, 슈플, 델타, 안텍 제품도 있긴 하지만
위에서 말한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진 못합니다.
파워 용량의 경우 지포스 GTX 480이상, 라데온 HD 6970 이상
그리고 그래픽카드를 여러대 연결하는 SLI나 크로스파이어가 아닌 이상
500W급 파워를 사용하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실상 저 위 카드들은 40만원 이상을 호가하는 제품이니
특별히 저런 경우가 아니면 500W를 사용하면 됩니다.
기술이 발전하여 파워 W가 갈수록 높게 출시되고 있는데
실상 컴퓨터의 소비전력은 과거와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W의 제품을 선택하는 건 다른 이유인데
높은 W의 제품들이 모듈러 여부나 효율이 더 좋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또한 최대 W에서 40% 부분이 효율 최대 지점이라 이를 맞추려고 하는 컴덕후들도 있습니다.
(저 역시 그런 이유로 750W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 쓸대 없는 얘기였고 일반적인 용도라면 500W면 충분하다는 사실만 알아둡시다.
7. 케이스
케이스 역시 일반이 가장 가장 가격을 아끼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컴퓨터에서 케이스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 입장에선
케이스는 반드시 좋은 제품을 구매하라 권하고 싶습니다.
현대의 제품은 누가 뭐래도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입니다.
핸드폰, 차, 기타 여러 제품에서 디자인이 안 좋은 제품은 살아남기가 어렵죠.
브랜드 PC 역시도 마찬가지구요.
하지만 유독 조립 PC 만큼은 싸구려 케이스를 사용하여
'나 조립 싸구려 PC'라는 인상을 풍기곤 합니다.
좋은 케이스를 썼을 때 장점이라면
1. 디자인
2. 소음(팬소음, 공진음 줄어듬)
3. 쿨링 능력
4. 세월이 지나도 컴퓨터에 대한 만족감 유지
앞서도 말했지만 디자인이 1순위인지라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디자인이 꽝이면 쓸 수 없다는 게 제 주관이구요.
소음 부분은 좋은 케이스일수록 대부분 강판이 두껍고
설계 자체도 공진음을 방지하게끔 나오기 때문에 묵직하고 정숙합니다.
팬 역시 좋은 팬을 기본으로 장착하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정숙하죠.
(베어링하고 상관이 있는데 어떤 종류의 베어링을 쓰느냐에 따라
팬의 수명과 정숙성은 천차 만별입니다.)
쿨링 능력은 온도 놀이에 목숨거는 컴덕후가 아니면
그다지 필요없는 부분이라 생략하겠습니다.
4번 항목은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인데
브랜드 PC나 이런 것들에 비해 조립컴의 주기는 상당히 짧은편입니다.
그 이유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2~5만원짜리
싸구려 케이스가 후줄근해지면서 만족감이 떨어지는 원인이 가장 큰 이유라고 봅니다.
실제로 브랜드 PC 만큼의 디자인을 가진 케이스는
조립 PC 쪽에선 10만원 이하에선 찾아보기 힘든 실정입니다.
현재 제 견적에선 비트피닉스의 시노비라는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능이나 구조가 좋은 케이스는 결코 아니지만
10만원대 이하에선 가장 좋은 디자인을 보여주는 제품입니다.
실버스톤의 FT-02
(1년 전 사용, Red Edition 한정판, 30발)
리안리의 X500FX
(현재 사용중, 60발)
일반이 쓰기엔 너무 후덜덜한 가격의 케이스 두 개 입니다.
현재 미들타워에선 가장 좋다고 평가받는 제품입니다.
이런 제품은 써보면 느낄 수 있지만 컴퓨터의 가치가 현격히 올라갑니다.
제가 돈이 많아서 이런 케이스를 쓰는 게 아닙니다.
컴퓨터에 있어 케이스가 가지는 중요성을 잘 인지하기 때문에
다른 스펙은 다운해서라도 이런 케이스를 쓰는 거죠.
케이스 괜찮은 브랜드로는
고가형(20~60만원)에서는 리안리, 실버스톤, 커세어
중가형(10~30만원)에서는 쿨러마스터, 써멀테이크, 프랙탈 디자인, NZXT, 비트피닉스
중저가형(5~10만원)에서는 쓰리알, 히로이찌, 빅스, 마이크로닉스 등이 있습니다.
8. 쿨러
쿨러의 경우 고가형으로는 써멀라이트가 있고
중가형으로는 쿨마, 써모렙, 잘만의 것들이 있습니다.
사실 가성비형으로는 잘만의 퍼포마를 따라올 모델이 없지만
소음이 약간 있다는 점에서 제 기준으로는 탈락시켰습니다. (번들팬의 경우 저항을 달아도!)
써모렙의 트리니티가 성능, 소음 부분에서 가장 이상적인 모델이 아닐 까 싶습니다.
물론 방열판의 간격을 고려하여 풍절음을 생각하면
쿨러의 소음이라는 말도 있긴 하지만 그에 앞서 쿨러의 소음이라는 건 팬의 소음입니다.
사실 팬의 소음이지만 일반의 경우 번들 그 자체를 하나로 인식하기 때문에
팬의 교체는 염두에 두지 않고 말한 겁니다.
9. 주변기기
주변기기의 경우 모니터,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같은 것들이죠.
키보드는 전에 제가 쓴 키보드 마스터를 참고하시구요.
(http://fs.joycity.com/bbs/cont/view/4/1/574354)
마우스는 유저분들이 더 잘 알겠죠.
모니터의 경우 할 얘기가 많은데 짧게만 얘기하면
모니터는 크게 패널로 종류를 나눌 수 있는데, IPS, PVA, TN이 그것입니다.
IPS는 LG, PVA는 삼성에서 만드는 패널입니다.
뭐 여러 특징이 있지만 크게 선명도, 색감, 시야각 이 정도에서 우위가 있고
제 입장으로서는 무조건 IPS나 PVA를 써라입니다.
IPS나 PVA의 경우 응답속도에서 TN보다 약간 느리긴 하지만
실제로 수치가 그러할 뿐 패널 특성 때문에 -5ms 해야 동일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요즘 PVA는 거의 없구요 IPS 패널 제품을 쓰면 됩니다.
(삼성에서 나오는 모니터들은 고가형이 아니면 99% TN 패널입니다.)
또한 중소기업 제품이 많은데 여러 유수의 중소기업 모니터 업체가 망한 전적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저는 대기업 모니터를 사라고 권해드리고 싶네요.
그래도 굳이 중소기업이라면 마이크로보드, 1PLUS, 퍼스트 이 세 업체가 괜찮습니다.
대기업 제품으로는 대표적으로 LG, DELL, HP의 모니터가 있습니다.
LG 제품도 AS가 좋아서 괜찮긴 한데 그것보단 DELL 제품이 좋습니다.
U2311, U2410, U2711은 현재 컴퓨터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쓰는 모니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U2311이 23인치 가장 저가형인데 일반의 경우 이정도만 사실 많이 훌륭합니다.
그리고 DELL 모니터의 경우 델 기업 홈페이지 가서 사는 게 저렴한 편입니다.
스피커의 경우 중, 고가형은 끝도 없으니 제외하구요
저가형으로는 ASHTON 제품이 압도적으로 괜찮습니다.
거의 중가형 이상의 마감과 소리를 자랑하는 제품입니다.
중가형 이상부턴 선택폭이 크지만 저가형이라면 고민없이 ASHTON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중가형은 크리에이티브의 기가웍스, 티엔브이의 베어트락 정도가 좋습니다.
III. 견적
견적은 플래그쉽, 메인스트림, 퍼포먼스 이렇게 세 가지 범주로 구성했으며
이름처럼 플래그쉽>메인스트림>퍼포먼스 순입니다.
플래그쉽 견적은 150~300만원
메인스트림 견적은 70~100만원
퍼포먼스 견적은 30~60만원
좀 더 세부적인 가격대는 케이스 선택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주변기기와 추가 케이스 리스트는 마지막 항목에 기재하였습니다.
가. 플래그쉽 견적
1. [하드코어]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인텔 코어i7-2세대 2600K (샌디브릿지) | 367,796 | 336,000 | 1 | 336,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32,178 | 26,800 | 4 | 107,200 | |
메인보드 | ASRock Z68 PROFESSIONAL GEN3 에즈윈 | 368,936 | 359,000 | 1 | 359,000 | |
VGA | MSI 지포스 GTX570 N570GTX O.C D5 1.2GB TWIN FROZR2 | 460,589 | 438,000 | 1 | 438,000 | |
HDD | WD 2TB Caviar Black WD2002FAEX (SATA3/7200/64M) | 165,347 | 153,100 | 2 | 306,200 | |
HDD | WD 600GB VelociRaptor WD6000HLHX (SATA3/10K/32M) | 368,727 | 330,000 | 2 | 660,0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 32,578 | 30,690 | 1 | 30,690 | |
케이스 | 리안리 PC-X500FX | 570,580 | 551,770 | 1 | 551,770 | |
파워 | CORSAIR PROFESSIONAL SERIES AX850 Gold | 309,959 | 291,990 | 1 | 291,990 | |
SSD | 인텔 320 Series PVR G3 | 217,013 | 198,000 | 1 | 198,000 | |
쿨러/튜닝 | ARCTIC F12 TC 대양케이스 | 11,905 | 11,000 | 6 | 66,000 | |
쿨러/튜닝 | Thermalright Venomous X Black | 95,030 | 91,000 | 1 | 91,000 | |
쿨러/튜닝 | 잘만 ZM-MFC1 PLUS 팬 컨트롤러 블랙 | 28,922 | 26,560 | 1 | 26,56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3,719,693 | 3,462,410 |
2. [익스트림]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인텔 코어i7-2세대 2600K (샌디브릿지) | 367,796 | 336,000 | 1 | 336,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32,178 | 26,800 | 2 | 53,600 | |
메인보드 | ASRock P67 Professional (B3) 에즈윈 | 287,473 | 279,000 | 1 | 279,000 | |
VGA | MSI 지포스 GTX560 Ti N560GTX TI O.C D5 1GB TWIN FROZR2 | 290,038 | 282,620 | 1 | 282,620 | |
HDD | WD 2TB Caviar Black WD2001FASS (SATA2/7200/64M) | 206,792 | 176,600 | 1 | 176,6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FXV | 35,576 | 32,620 | 1 | 32,620 | |
케이스 | CORSAIR OBSIDIAN 650D | 239,776 | 224,320 | 1 | 224,320 | |
파워 | 시소닉 X-660 80 PLUS 골드 | 232,822 | 212,720 | 1 | 212,720 | |
SSD | 삼성전자 S470 Series | 148,965 | 128,000 | 1 | 128,000 | |
쿨러/튜닝 | ARCTIC F12 TC 대양케이스 | 11,905 | 11,000 | 3 | 33,000 | |
쿨러/튜닝 | Thermalright Venomous X Black | 95,030 | 91,000 | 1 | 91,000 | |
쿨러/튜닝 | 잘만 ZM-MFC1 PLUS 팬 컨트롤러 블랙 | 28,922 | 26,560 | 1 | 26,56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2,033,261 | 1,876,040 |
3. [하이레벨]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인텔 코어i5-2세대 2500K (샌디브릿지) | 258,784 | 233,000 | 1 | 233,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32,178 | 26,800 | 2 | 53,600 | |
메인보드 | ASRock P67 Extreme4 (B3) 에즈윈 | 188,860 | 183,000 | 1 | 183,000 | |
VGA | MSI 지포스 GTX560 Ti N560GTX TI O.C D5 1GB TWIN FROZR2 | 290,038 | 282,620 | 1 | 282,620 | |
HDD | WD 2TB Caviar Black WD2001FASS (SATA2/7200/64M) | 206,792 | 176,600 | 1 | 176,6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 32,578 | 30,690 | 1 | 30,690 | |
케이스 | Fractal Design Define R3 | 154,543 | 149,210 | 1 | 149,21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PRO 600W 80PLUS BRONZE | 107,375 | 102,000 | 1 | 102,000 | |
SSD | 삼성전자 S470 Series | 148,965 | 128,000 | 1 | 128,000 | |
쿨러/튜닝 | 써모랩 TRINITY 트리니티 | 41,833 | 39,500 | 1 | 39,500 | |
쿨러/튜닝 | 잘만 ZM-MFC1 PLUS 팬 컨트롤러 블랙 | 28,922 | 26,560 | 1 | 26,56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1,523,046 | 1,404,780 |
나. 메인스트림 견적
1. [INTEL+NVIDIA]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인텔 코어i5-2세대 2500K (샌디브릿지) | 259,288 | 233,000 | 1 | 233,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132,221 | 28,500 | 2 | 57,000 | |
메인보드 | ASRock P67 Extreme4 (B3) 에즈윈 | 188,269 | 182,000 | 1 | 182,000 | |
VGA | MSI 지포스 GTX560 Ti N560GTX TI O.C D5 1GB TWIN FROZR2 | 290,594 | 282,400 | 1 | 282,4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441 | 61,800 | 1 | 61,8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 32,495 | 30,590 | 1 | 30,590 | |
케이스 | BITFENIX Shinobi Window | 80,199 | 77,280 | 1 | 77,28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Bronze | 71,354 | 67,320 | 1 | 67,320 | |
쿨러/튜닝 | 써모랩 TRINITY 트리니티 | 41,904 | 39,500 | 1 | 39,50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1,294,986 | 1,030,890 |
2. [INTEL+ATI]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인텔 코어i5-2세대 2500K (샌디브릿지) | 259,288 | 233,000 | 1 | 233,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132,221 | 28,500 | 2 | 57,000 | |
메인보드 | ASRock P67 Extreme4 (B3) 에즈윈 | 188,269 | 182,000 | 1 | 182,000 | |
VGA | SAPPHIRE 라데온 HD 6870 D5 1GB | 214,418 | 204,000 | 1 | 204,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446 | 61,800 | 1 | 61,8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 32,495 | 30,590 | 1 | 30,590 | |
케이스 | BITFENIX Shinobi Window | 80,199 | 77,280 | 1 | 77,28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Bronze | 71,354 | 67,320 | 1 | 67,320 | |
쿨러/튜닝 | 써모랩 TRINITY 트리니티 | 41,904 | 39,500 | 1 | 39,50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1,218,815 | 952,490 |
3. [AMD+NVIDIA]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AMD 페넘II-X4 955 (데네브) | 135,161 | 118,000 | 1 | 118,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33,515 | 28,500 | 2 | 57,000 | |
메인보드 | ASUS M4A87TD/USB3 디지탈그린텍 | 101,637 | 97,400 | 1 | 97,400 | |
VGA | MSI 지포스 GTX560 Ti N560GTX TI O.C D5 1GB TWIN FROZR2 | 290,488 | 282,000 | 1 | 282,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422 | 61,800 | 1 | 61,8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 32,495 | 30,590 | 1 | 30,590 | |
케이스 | BITFENIX Shinobi Window | 80,193 | 77,280 | 1 | 77,28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Bronze | 71,354 | 67,320 | 1 | 67,320 | |
쿨러/튜닝 | 써모랩 TRINITY 트리니티 | 41,886 | 39,000 | 1 | 39,00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886,666 | 830,390 |
4. [AMD+ATI]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AMD 페넘II-X4 955 (데네브) | 135,161 | 118,000 | 1 | 118,000 | |
RAM | 삼성전자 DDR3 4G PC3-10600 | 33,515 | 28,500 | 2 | 57,000 | |
메인보드 | ASUS M4A87TD/USB3 디지탈그린텍 | 101,637 | 97,400 | 1 | 97,400 | |
VGA | SAPPHIRE 라데온 HD 6870 D5 1GB | 214,420 | 204,000 | 1 | 204,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422 | 61,800 | 1 | 61,800 | |
ODD | 파이오니아 DVD/CD Writer DVR-S19LBK | 32,495 | 30,590 | 1 | 30,590 | |
케이스 | BITFENIX Shinobi Window | 80,193 | 77,280 | 1 | 77,28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Bronze | 71,354 | 67,320 | 1 | 67,320 | |
쿨러/튜닝 | 써모랩 TRINITY 트리니티 | 41,886 | 39,000 | 1 | 39,00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810,598 | 752,390 |
다. 퍼포먼스 견적
1. [CPU 중시형]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AMD 페넘II-X4 955 (데네브) | 138,837 | 125,000 | 1 | 125,000 | |
RAM | 삼성전자 DDR3 2G PC3-10600 | 16,444 | 13,900 | 2 | 27,800 | |
메인보드 | ASRock 770iCafe 에즈윈 | 59,206 | 57,000 | 1 | 57,000 | |
VGA | SAPPHIRE 라데온 HD 5850 XTREME OverClock D5 1GB | 189,555 | 183,000 | 1 | 183,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217 | 61,600 | 1 | 61,600 | |
케이스 | 마이크로닉스 Zephyr 블랙 | 37,349 | 35,000 | 1 | 35,00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Standard | 57,225 | 53,580 | 1 | 53,58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581,277 | 542,980 |
2. [그래픽카드 중시형]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AMD 애슬론II-X3 455 (라나) | 90,408 | 81,000 | 1 | 81,000 | |
RAM | 삼성전자 DDR3 2G PC3-10600 | 16,444 | 13,900 | 2 | 27,800 | |
메인보드 | ASRock 770iCafe 에즈윈 | 59,206 | 57,000 | 1 | 57,000 | |
VGA | SAPPHIRE 라데온 HD 6870 D5 1GB | 214,437 | 204,000 | 1 | 204,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217 | 61,600 | 1 | 61,600 | |
케이스 | 마이크로닉스 Zephyr 블랙 | 37,349 | 35,000 | 1 | 35,00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Standard | 57,225 | 53,580 | 1 | 53,58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557,730 | 519,980 |
3. [실속형]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AMD 애슬론II-X2 255 (레고르) | 69,771 | 59,000 | 1 | 59,000 | |
RAM | 삼성전자 DDR3 2G PC3-10600 | 16,444 | 13,900 | 2 | 27,800 | |
메인보드 | ASRock 770iCafe 에즈윈 | 59,206 | 57,000 | 1 | 57,000 | |
VGA | MSI 라데온 HD 5770 R5770 Hawk 1GB 웨이코스 | 160,400 | 150,000 | 1 | 150,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216 | 61,600 | 1 | 61,600 | |
ODD | 삼성전자 Super-WriteMaster SH-222AL | 23,829 | 21,900 | 1 | 21,900 | |
케이스 | 마이크로닉스 Zephyr 블랙 | 37,349 | 35,000 | 1 | 35,00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Standard | 57,225 | 53,580 | 1 | 53,58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506,884 | 465,880 |
4. [사무형]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CPU | AMD 애슬론II-X3 455 (라나) | 90,408 | 81,000 | 1 | 81,000 | |
RAM | 삼성전자 DDR3 2G PC3-10600 | 16,444 | 13,900 | 2 | 27,800 | |
메인보드 | 이엠텍 ESTAR ST A880G+ HD 쇠라 | 65,196 | 62,000 | 1 | 62,000 | |
HDD | WD 1TB Caviar Blue WD10EALX (SATA3/7200/32M) | 66,216 | 61,600 | 1 | 61,600 | |
ODD | 삼성전자 Super-WriteMaster SH-222AL | 23,829 | 21,900 | 1 | 21,900 | |
케이스 | BRAVOTEC LOOP 2202 화이트 | 27,245 | 25,940 | 1 | 25,940 | |
파워 | 마이크로닉스 Performance 500W 80PLUS Standard | 57,225 | 53,580 | 1 | 53,58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363,007 | 333,820 |
라. 주변기기 및 케이스
1. [주변기기]
이미지 |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평균가 | 최저가 | 수량 | 합계 |
---|---|---|---|---|---|---|
모니터 | DELL UltraSharp U2311H | 239,773 | 214,691 | 1 | 214,691 | |
키보드 | 지피전자 QSENN GP-K5000 PS2 블랙 | 8,915 | 8,000 | 1 | 8,000 | |
마우스 | 로지텍 G1 Optical Mouse | 18,118 | 16,200 | 1 | 16,200 | |
사운드/스피커 | ASHTON AT-1010 ATOM Black Edition | 25,492 | 23,150 | 1 | 23,150 |
부품별 합계 (수량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합산 금액입니다) | 292,298 | 262,041 |
주변기기는 가장 저렴하면서도 괜찮은 제품들로 구성하였습니다.
2. [케이스]
케이스는 남이 뭐라고 하든 자신이 선호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고르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기본기가 따라주는 케이스는 필요하기 때문에
5만원 이상, 미들 타워 제품 중에서 골라보시기 바랍니다.
케이스 괜찮은 브랜드로는
고가형(20~60만원)에서는 리안리, 실버스톤, 커세어
중가형(10~30만원)에서는 쿨러마스터, 써멀테이크, 프랙탈 디자인, NZXT, 비트피닉스
중저가형(5~10만원)에서는 쓰리알, 히로이찌, 빅스, 마이크로닉스 등이 있습니다.
IV. 구매 방법
용산의 대형 조립몰인 컴퓨존, 아이코다, 조이젠 같은 업체는
보유하고 있는 부품들로만 조립을 해주기 때문에 원하는 부품을 완전히 선택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때문에 나진, 선인의 소형 업체들을 통한 조립을 추천드립니다.
이곳 업체들은 부품들을 모두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점과
가격 역시 다나와 최저가에 근접하여 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AS의 불편함과 업체가 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있지요.
때문에 가장 유명하고 신뢰도 있는 업체 두 곳 정도만 추천드리겠습니다.
준투유(http://jun2u.co.kr), 브레인컴퓨터(http://www.braincomputer.co.kr/)
준투유의 경우 쿨엔조이에서 가장 유명한 조립 업체입니다.
해당 게시판에 원하는 견적서 제출하시면 진행해줄겁니다.
V. 윈도우의 운용
아시겠지만 윈도우는 직접 까셔야 합니다.
뭐 구매하시던.. 어떻게 하시던 그건 자유이고
해당 정보는 윈도우포럼(http://windowsforum.kr/)에서 얻으시기 바랍니다.
순정 뿐만 아니라 각종 트윅 윈도우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가서 일주일 정도만 질문하면서 활동하면 어떻게 하는지 다 알 수 있을겁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만든 Windows 7 Void Edition도 추천해드리고 싶긴 한데
설치 방법이 간단한 편은 아니라.. ㅋ;;
그리고 브랜드 PC와 조립 PC의 차이점이라면 복구 시스템의 유무입니다.
브랜드 PC의 경우 복구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내장되어있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할 경우 복구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죠.
반면에 조립 PC의 경우 이런 부분에 있어서 너무 신경을 안 쓰는 편이라
조금만 시간이 지나 윈도우가 엉켜버리면 컴퓨터가 느려지게 되고..
이를 컴퓨터 자체의 느려짐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적지 않죠.
조립 PC 역시 복구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고스트나 트루이미지, VHD를 활용한 방법이 있구요.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은 고스트를 이용한 방법이고
해당 프로그램으로는 snoopy Ghost, One Key Ghost 같은 프로그램입니다.
이 역시 윈도우포럼에 가면 자세한 정보들이 있으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VI. 에필로그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어차피 세상은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이 글도 불과 몇 달이 지나면 과거의 정보로 치부되겠지요.
남들이 주는 것만 떠먹어서는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없습니다.
좋은 컴퓨터를 사고 싶다면 본인이 공부하고 또 연구해보세요 ㅎㅎ
그리고 한 번 더 얘기하지만 조립 PC는 복구 시스템의 운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비싼 돈 주고 컴퓨터 사서 느려터지다고 화내지 마시고 복구 시스템을 잘 갖춰놓으시기 바랍니다.
컴퓨터를 빠르게 하는 정도(正道)는
몇 십만원짜리 CPU를 사는 게 아니라 얼마나 복구 시스템을 잘 갖춰놓느냐에 달려있습니다.
------------------------------------------------------------------------------------
30~300만원까지 다양하게 견적 올렸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1. 8. 6)
원문: http://fs.joycity.com/bbs/cont/view/6/1/647469
'Computer > 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YS님 견적 (0) | 2010.12.24 |
---|---|
컴퓨터 견적(샌디) (0) | 201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