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 자동 백업의 경우 C, D 드라이브가 갖춰지는 걸 기본으로 합니다. 고스트 자동 백업 뿐만 아니라 고스트 백업의 기본은 C 드라이브(시스템 드라이브) 이외에 서브 드라이브가 있어야 거기에 백업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OS가 64비트 일경우 SGR3x64.exe를 실행하고, 32비트일 경우 SGR3x86.exe를 실행합니다.
이 화면이 출력된 이후 수동으로 재시작을 해주어야 합니다.
snoopy GHOST R3로 구동할 경우 위와 같이 VirtualFDD 구동 파일인 VFDD.BIN가 생성되지만 이는 백업 이후 부팅시에 생긴 파일로 실제 백업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D 드라이브에 GHOST.GHO라는 파일로 백업 파일이 생성됩니다. 자동 백업의 경우 파일명은 항상 GHOST.GHO로 생성됩니다. 때문에 이 파일은 위 백업 과정을 다시 진행하면 덮어 씌워져 사라지게 되니, 파일명을 변경 하여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D 드라이브 루트에 GHOST.GHO 파일이 위치하여야 자동 복원이 가능합니다. 앞서 백업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고스트를 구동합니다.
[footnote][/footnote] 고스트 구동
자동 복원의 경우 일반적으로 3번 Restore를 선택합니다. 이 화면에서는 직접 숫자 타이핑을 친 후 엔터를 입력합니다.
복원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재시작이 됩니다.
snoopy GHOST의 자동 백업 및 복원 방법은 아주 간단하지만 이것만 익혀도 고스트 운용의 절반 이상을 알아간 것입니다. 이후에 이어질 snoopy GHOST 수동 백업 및 복원 강좌는 굳이 모르셔도 상관없는 부분입니다. 다만 미리 백업 파일 이름을 GHOST.GHO로 맞추지 못한 경우나 여러 백업 파일 중 원하는 파일로 복원을 진행하고 싶은 경우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 [/footnote] 예약 디스크가 없을 경우
snoopy_GHOST_R3.exe 파일을 실행합니다.파일이 위치한 경로는 어디든 상관없습니다.UltraIS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noopy_GHOST_R3.iso 파일을 USB 디스크나 CD/DVD 미디어에 구워줄 수 있습니다. 윈도우 부팅이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하여 고스트 시동 디스크를 만들어 두시는 게 좋습니다.
확인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재시작이 됩니다.
[footnote] [본문으로] - [/footnote] 고스트 구동
자동 백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2번 Create Image를 선택합니다. 이 화면에서는 직접 숫자 타이핑을 친 후 엔터를 입력합니다.
이 과정은 C 드라이브를 D:\GHOST.GHO 파일로 백업합니다.아래 고스트 진행 화면에서 상태창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일부 구형 컴퓨터에서 IDE 장치 호환성 문제로 이 경우 -noide switch 옵션이 있는 5번을 선택합니다.
100%가 되면 자동으로 재시작이 됩니다.
[footnote] [본문으로]
'Manual > 고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고스트 메뉴얼 - 고스트 및 백업 소개 (0) | 2012.07.13 |
---|---|
3. 고스트 메뉴얼 - 스누피 고스트 수동 (0) | 2012.07.13 |
4. 고스트 메뉴얼 - 원키 고스트 세팅 (2) | 2012.07.13 |
5. 고스트 메뉴얼 - 윈도우 원키 고스트 (1) | 2012.07.13 |
6. 고스트 메뉴얼 - MBR 원키 고스트 (1) | 2012.07.12 |